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아마존 fire hd 10 루팅방법 - 2019.9.4

아마존 fire hd 10 루팅방법 - 2019.9.4
** 본 사이트는 카피 방지를 위해서 카피가 안되는데,
해당글은 카피를 해야해.
본 글을 첨부했으니 다운받아서 카피하는 방식으로 명령어 입력해라.

아래 이름인 첨부파일을 클릭하면 된다. 링크를 우클릭해서 저장해도 된다.

--

첨부파일

--

 

루팅 하지 않아도 사용에 문제없다.

태블릿에 변화를 주고 싶어서 루팅 했다.

루팅 작업에는 먹통이 될 위험이 따른다고 주장하나 전혀 없다.

MJJ 사용하다가 루팅 한 경우라 광고 제거, 구글 플레이 설치는 미리 했다.

Fire OS 버전은 6.4.x.x(2019년 9월에 구입한 최신버전이다)

1. 준비물 다운

1) ADB 1.4.3버전 다운 https://forum.xda-developers.com/showthread.php?t=2588979

(컴퓨터로 태블릿에 접속해 명령어 입력하기 위한 툴)

1.4.3 버전으로 했을 시 중간에 막혀서 1.3버전으로 재시도 했더니 성공했다. 안 되시는 분은 1.3버전으로 다운로드해.

ADB 다운로드

ADB 설치

다운로드한 ADB를 실행하면 설치를 묻는 화면이 뜬다.

y를 입력하고 엔터,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C 드라이브에 adb 폴더가 생성된다.

2) Kingoroot 다운로드 http://www.kingoapp.com/ (루팅 프로그램)

윈도우 버전으로 다운로드 후 설치한다.

3) SuperSU-v2.79-20161205182033.apk 다운로드 (루팅 어플)

https://drive.google.com/file/d/19vJJfttFp5puYMSfQFx3aB2PQbsB-1dy/view?usp=sharing

다운로드 후 C 드라이브 adb 폴더 안에 넣어 둔다.

2. 루팅

준비물을 모두 다운 및 설치하셨으면 루팅을 진행한다.

1) Fire HD 10 태블릿 설정하기

a. 업데이트 방지를 위해 Fire 태블릿을 비행기 모드로 전환한다.

Airplane mode

b. Settings - Device Options - Serial Numer 연속 탭

순서대로 들어가서 시리얼 번호를 약 7~8번 두드리면, 개발자 설정(Developer Options)이 활성화된다.

개발자 설정 들어가서 Enable ADB 활성화한다.

(ADB 툴을 이용해 컴퓨터와 접속을 허용하기 위함)

Settings

Device Options

Serial Numer 연속 탭 -> Developer Options

Enable ADB 활성화

c. Settings - Security & Privacy에서 Apps from Unkown Sources 활성화

Security & Privacy

Apps from Unkown Sources 활성화

2) Kingoroot로 루팅 하기

위의 태블릿 설정이 끝났으면, Kingoroot를 실행하고 컴퓨터와 태블릿을 USB로 연결한다.

'Root' 버튼을 눌러 루팅을 시작한다.

태블릿 화면에 'Allow USB debugging' 팝업창 뜨면 OK를 누룬다.

태블릿에 % 가 올라가고 100%가 되면 루팅 완료.

원 글에는 "Kingoroot 좌측 하단에 Install recommended app 체크 박스 비활성화"라는 말이 있지만

좌측 하단에 아무것도 없고 체크 박스도 없어서 무시하고 진행했다.

(제 화면에는 루팅이 되어 있어서 '루팅 해제' 버튼과 '재 루팅' 버튼이 있다.)

+추가 USB 3.0 포트로 인식이 안되는 경우, USB 2.0 포트로 연결해보자.

Kingo root

3) ADB 접속하기

a. 명령어 입력 (SuperSU 설치)

Kingoroot로 루팅을 완료했으면 CMD 창을 열고 ADB와 접속한다.

윈도우키 + R을 누르면 실행창이 열립니다. 거기에 cmd 적고 확인.

아래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한다.

복사 붙여넣기로 입력하는 게 좋다. 오타가 날 수 있으니까.

adb devices
adb uninstall com.lionmobi.powerclean
adb uninstall com.kingoapp.link
adb uninstall kingoroot.supersu
adb install SuperSU-v2.79-20161205182033.apk
adb shell "am start -n eu.chainfire.supersu/eu.chainfire.supersu.MainActivity"

adb devices

2번째 3번째 명령어는 루팅 과정 중에 생성된 찌꺼기 앱 제거라는데 삭제할게 없으면 Failure로 뜬다.

5번째 줄 명령어는 SuperSU 루팅 앱 설치 명령어다.

SuperSU 앱 다운로드 후 C 드라이브 adb 폴더 안에 넣어 두어야 설치가 진행된다. (위에 언급된 준비물 3번)

물론 파일 이름도 같아야 하고.

위와 같이 했음에도 설치가 안 되면 경로를 직접 입력해서 설치해야 한다.

adb install C:/adb/SuperSU-v2.79-20161205182033.apk

(C 드라이브\adb 폴더 안에 있다는 전제다.)

전 SuperSU가 설치되어 있어서 일부러 오타를 냈다.

설치가 되면 Success라고 뜬다.

그리고 마지막 명령어를 넣으면 태블릿에 SuperSU 앱이 자동 실행된다.

b. SuperSU 설정

SuperSU 앱이 실행되면 화면에 'New User' / 'Expert' 버튼이 보이는데, 아무거나 선택한다. 전 Expert를 선택했다.

Binary 업데이트가 뜨면 업데이트를 누르고 Normal 선택한다.

잠시 후 인스톨 실패(Installation failed)라고 나오는데 무시하고 재부팅한다.

(전 여기서 How to root 버튼만 떠서 고생했다. Binary 떴을 때 취소하지 말고 Continue를 눌러야 Normal 버튼이 뜬다.)

재부팅하고 SuperSu 앱 실행 - Settings - Default access - Grant로 변경한다.

SuperSU 설정

c. Kingoroot 찌꺼기 파일을 제거하기

Kingoroot 찌꺼기 파일을 제거하기 위해 ADB에서 다음과 같이 한 줄씩 입력한다.

adb uninstall com.nemo.vidmate
adb shell rm -rf /sdcard/VidMate
adb shell rm -rf /sdcard/.a
adb shell rm -rf /sdcard/.DataStorage
adb shell rm -rf /sdcard/.UTSystemConfig

찌꺼기 파일이 설치된 게 없다면 Failure 뜨는데 그대로 진행하면 된다.

MJJ 전부 Failure 뜬 거로 기억한다.

d. OTA 업데이트 비활성화하기

Fire OS 업데이트를 막기 위한 절차다.

윈도우키 + R 누르고 실행창에 cmd 적고 확인.

아래 명령어 5줄을 입력한다.

adb shell
su
mount -w -o remount /system
mv /system/priv-app/DeviceSoftwareOTA/DeviceSoftwareOTA.apk /system/priv-app/DeviceSoftwareOTA/DeviceSoftwareOTA.apk_
ls -l /system/priv-app/DeviceSoftwareOTA/

(업데이트를 막기 위해 'DeviceSoftwareOTA.apk' 이름을 'DeviceSoftwareOTA.apk_'로 변경하는 명령어다.)

OTA 업데이트 비활성화하기

위 명령어가 잘 입력됐는지, 업데이트 비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다.

Fire HD - Settings - Device Options - System Updates 시스템 업데이트에서 업데이트 체크를 누를 경우

'Check for updates failed'업데이트 확인이 실패했다는 문구가 뜬다.

Check for updates failed

OTA 업데이트를 다시 활성 하려면 4번째 줄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mv /system/priv-app/DeviceSoftwareOTA/DeviceSoftwareOTA.apk_ /system/priv-app/DeviceSoftwareOTA/DeviceSoftwareOTA.apk

('DeviceSoftwareOTA.apk_' 파일 이름을, 기존 'DeviceSoftwareOTA.apk'로 바꿔주는 명령어다.)

※ OTA 업데이트 비활성화가 안될 시 직접 이름을 변경해줘도 된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ES 파일 탐색기를 설치한다. (Fire HD 10 루팅 Part.2에 가시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 설치방법 있다.)

ES 파일 탐색기 실행 후 ① Local(SD 카드 아이콘)로 들어간다. ② / 를 누르고 ③ system 폴더로 들어간다.

④ priv-app 폴더 들어가서 ⑤ Search 누르고 ⑥ ota라고 검색한다. ⑦ DeviceSoftwareOTA 폴더로 들어가서

⑧ DeviceSoftwareOTA_apk 파일을 꾹 눌러서 ⑨ Rename 선택 후 DeviceSoftwareOTA.apk_로 이름을 변경한다.

DeviceSoftwareOTA

DeviceSoftwareOTA

여기까지 하셨으면 루팅은 모두 끝났고, Fire OS 업데이트까지 막은 상황이다.

Part 2에서는 아마존 런처를 비활성화하고 노바 런처로 대체

태블릿 하단 바 변경 + 키 설정

일부 어플 한글화

dpi 변경을 이어서 작성하겠다.

3. 구글 플레이 설치

Fire 기본 어플인 Silk Browser로 아래 사이트에 접속해서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

1번 다운로드 설치, 2번 다운로드 설치, 3번 다운로드 설치, 4번 다운로드 설치

순서대로 하나씩 완료해.

1) Google Account Manager 5.1-1743759

2) Google Services Framework 5.1-1743759

3) Google Play Services 11.5.09 (230-164803921)

4) Google Play Store 8.3.41.U-all [0] [FP] 170066753

구글 플레이 스토어 APK 다운

접속하면 1~4번까지 링크가 있다.

1번 링크를 누르면 다운로드 화면으로 넘어간다. Download APK 버튼 터치

자동으로 안 될 경우 here을 눌러 다운로드한다.

상단 바를 아래로 쓸어내리면 완료 내역이 뜨고, 터치하면 설치로 넘어간다.

Install을 눌러 설치를 완료한다.

마찬가지로 2~4번까지 반복해서 설치한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 APK

구글 플레이 스토어 APK 설치

※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설치되면 SuperSU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막아놔야 한다.

업데이트 비활성을 위해 구글 플레이를 실행하고 My apps & Games으로 들어간다.

SuperSU 앱을 선택하고 우측 상단 … 을 눌러 'Enable auto update' 해제한다.

'Enable auto update

4. 아마존 런처 비활성 & 노바 런처 설치

아마존 런처 비활성화 전에, 반드시 사용하고자 하는 런처를 미리 설치해 두셔야 한다.

노바 런처 프라임 APK 다운로드 Nova_Launcher-Prime-v6.0-beta12_build_59913

#1안, #2안 두 방법이 있는데, MJJ 명령어 없는 #2안으로 했다. 둘 중 편한 것으로 하면 된다.

#1안 명령어로 비활성

노바 런처를 설치하셨으면,

윈도우키 + R 실행창을 열고 cmd 적고 확인.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adb shell appwidget grantbind --package com.teslacoilsw.launcher --user 0

아마존 런처 비활성 명령어를 입력한다.

입력하면 아마존 런처는 비활성화되고, 노바 런처가 1순위로 화면에 나타난다.

adb shell
su
pm disable com.amazon.firelauncher

아마존 런처를 기존 방식으로 활성 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adb shell
su
pm enable com.amazon.firelauncher

마찬가지로 다른 아마존 앱을 비활성 하려면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adb shell

su

'pm disable 어플 패키지 이름'

어플 목록은 아래 엑셀 링크에 있다.

엑셀을 보고 비활성 해도 안전한 앱을 골라 Command를 입력해주면 된다.

MJJ 부분 비활성을 위해 출처의 본문과 같이 전부 비활성화하지 않았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GLb_1xIWz1uGVEJEikwEaqRF0rhMVQI5vlMQcUm6m8U/edit#gid=0

a. 잠금 화면 비활성

태블릿의 첫 화면인 락 스크린을 비활성 하기 위한 명령어다. (잠금 해제 없이 바로 홈 화면이 나온다.)

adb shell
su
sqlite3 /data/system/locksettings.db "UPDATE locksettings SET value = '1' WHERE name = 'lockscreen.disabled'"

잠금 화면 활성은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기존으로 복원)

adb shell
su
sqlite3 /data/system/locksettings.db "UPDATE locksettings SET value = '0' WHERE name = 'lockscreen.disabled'"

#2안 앱으로 비활성

명령어 입력 없이 앱으로 비활성 한다.

노바 런처 앱을 시스템 앱으로 편입시키는 방식이다.

구글 플레이에서 'Link2SD'를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

Link2SD

Link2SD를 실행한다.

우측 상단에 …누르고 검색을 선택한다.

좌측에 'nova'라고 적으면 노바 런처 앱이 보다.

노바 런처 앱을 선택하고 우측 상단에 …누르고 'Convert to system app'을 선택한다.

그리고 재부팅 하면 노바 런처 홈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제 경우는 벌써 시스템 앱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Convert to user app'사용자 앱으로 변환하는 문구가 뜬다.)

Convert to system app

a. 아마존 런처 비활성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App quarantine' 앱을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

App quarantine

App quarantine 앱을 실행한다.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①…을 누르고 ② Settings에 들어간다.

Filter 메뉴에서 ③ Advanced ON ④ System services를 체크한다.

System services 체크

System services 체크 후 뒤로 나와서 아마존 런처를 찾아 비활성 해준다.

앱 이름은 'Fire Launcher' 혹은 'Home Pages'다.

해당 앱을 찾아서 체크하고 자물쇠 버튼을 누르면 비활성 된다.

비활성 된 앱은 Quarantine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

(MJJ 날씨, 웹, 런처, 튜토리얼 등 몇 가지만 비활성 했다.)

Home Pages 비활성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앱을 비활성 해주면 된다.

어플 목록은 아래 엑셀 링크에 있다.

엑셀을 보고 비활성 해도 안전한 앱을 골라 잠가 주면 된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GLb_1xIWz1uGVEJEikwEaqRF0rhMVQI5vlMQcUm6m8U/edit#gid=0

※잠금 화면 비활성은 앱으로 할 수 없다.

b. 잠금 화면 비활성

태블릿의 첫 화면인 락 스크린을 비활성 하기 위한 명령어다. (잠금 해제 없이 바로 홈 화면이 나온다.)

윈도우키 + R 키를 누르고 실행창에 cmd 적고 확인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adb shell
su
sqlite3 /data/system/locksettings.db "UPDATE locksettings SET value = '1' WHERE name = 'lockscreen.disabled'"

잠금 화면 활성은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기존으로 복원)

adb shell
su
sqlite3 /data/system/locksettings.db "UPDATE locksettings SET value = '0' WHERE name = 'lockscreen.disabled'"

5. Xposed 설치

Xposed 설치 과정에서 벽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벽돌이 될 경우 순정 롬을 아마존에서 받고, adb sideload를 이용해 초기화를 진행해야 한다.

최신 순정 롬 다운로드와 초기화 설명은 아래 사이트에 있다.

순정 롬 다운로드

xda-developers 순정 복구

※ 순정 복구하기

a. 순정 롬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순정 롬 파일 이름을 update로 변경한다.

b. update로 이름 변경한 순정 롬을 내 PC > C: 드라이브 > 사용자(user) > 본인 컴퓨터 이름 속에 이동한다.

c. 태블릿 전원을 끄고 '볼륨 업' 버튼 + '전원' 버튼을 5초 이상 꾹 누르고 있다. (아마존 로고가 사라지면 때세요)

d. 전원이 켜지면 메뉴 몇 개가 보다. 'apply update from ADB' 메뉴로 '볼륨 다운' 버튼을 이용해 이동하고 '전원' 버튼으로 선택한다.

e. 태블릿과 pc 연결한 상태로 윈도우키 + R 키로 실행창을 열고 cmd 적고 확인.

f. cmd 창에 adb devices 적고 태블릿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g. 연결된 상태라면 adb sideload update.bin을 적으면 순정으로 돌아간다.

(혹시나 파일을 읽지 못해 업데이트가 안되면, update 순정 롬을 내 PC > C: 드라이브 > adb 폴더 안에 넣고

cmd 창에 adb sideload C:/adb/update.bin 로 해결할 수 있다.)

Xposed 설치하기

1) 구글 플레이에서 ES 파일 탐색기를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

2) Xposed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

Xposed APK 다운로드

3) 설치된 Xposed Installer를 실행한다.

4) OFFICIAL 선택 - ▼ 아래 화살표를 선택 - xposed-v89-sdk22-arm64 선택 - Install/update 버튼을 누룬다.

"app_process64"를 찾을 수 없다는 팝업 오류가 뜨는데 정상다.

xposed-v89-sdk22-arm64 - Install/update

5) ES 파일 탐색기를 실행한다.

6) 왼쪽 메뉴를 누르고 'Root Explorer'를 활성화한다.

Root Explorer 활성화

7) /system/bin/ 폴더에 가서 app_process64_xposed 파일을 삭제하고 재부팅한다.

※ app_process64_xposed 파일을 반드시 삭제하고 재부팅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벽돌이 된다고 한다.

ES 파일 탐색기로 삭제가 안될 경우 'Solid Explorer' 앱을 설치해서 삭제 후 재부팅한다.

a. 처음 위치는 집 모양 아이콘다.

b. ① sd 카드 아이콘 모양을 누룬다.

c. ② / 를 누룬다.

d. ③ system 폴더를 누룬다.

e. ④ bin 폴더를 누룬다.

f. app_process64_xposed 파일을 삭제하고 재부팅한다.

(네모칸 부분에 있다. MJJ 삭제해서 보이지 않다.)

app_process64_xposed 파일 삭제

위 방법으로도 app_process64_xposed 파일이 삭제가 안되면 adb 명령어를 이용해 삭제한다.

윈도우키 + R 실행창에 cmd 적고 확인.

adb shell
su
mount -w -o remount /system
rm -f -v /system/bin/app_process64_xposed

8) 재부팅 되면, Xposed Installer 실행하고 Donwload 메뉴로 들어간다.

Xposed Installer - Donwload

9) GravityBox[LP] (내비바 변경용), App locale (부분 한글화용), App locale 2 (부분 한글화용)을 다운로드 후 설치

a. ① 검색으로 GravityBox[LP], App locale, App locale 2 찾아 설치한다.

b. ② 설치된 목록 3개가 뜬다.

GravityBox[LP], App locale, App locale 2 설치

10) Module 메뉴로 들어가서 설치한 파일 모두 활성화 체크하고 재부팅한다.

Module

6. GravityBox[LP] 툴을 이용해 하단 바, 액션 키, 상단 바 변경하기

1) GravityBox[LP] 실행 후 ① Nabigation bar tweaks 메뉴 클릭, ② Master Swith 활성화, ③ Swap Back and Recent keys 체크 후 재부팅.

(내비게이션 바가 삼성 폰처럼 최근 앱 - 홈 - 뒤로 가기 버튼 순으로 변경된다.)

GravityBox[LP]

2) GravityBox[LP] 실행 후 Navigation keys actions 메뉴 변경

a. Navigation keys actions 메뉴 클릭하고 Recent key 항목의 Doulbe-tap action 메뉴 눌러서 'Switch to previous app' 선택

(최근 앱 버튼 두 번 터치 시 이전 앱으로 가기)

Switch to previous app

b. 마찬가지 방법으로 나머지 버튼도 자신이 원하는 액션으로 변경해 줄 수 있다.

(제가 설정한 상태다. 응용해서 본인이 원하는 액션을 설정해 주세.)

Navigation keys actions

홈 키, 뒤로 가기 키, 메뉴 키(최근 앱 키)에

탭, 더블 탭, 롱 탭을 원하는 액션으로 변경할 수 있다.

Navigation keys actions

3) 종료 메뉴에 재부팅 띄우기

a. GravityBox[LP] 실행 후 ① Power tweaks 선택

b. ② Advanced reboot menu 활성 체크

c. ③ Screenshot in power menu 체크 (종료 메뉴에 스크린샷을 넣었는데, 최근 앱 롱 탭에 스크린샷이 더 활용도가 높네.)

d. ④ 재부팅할 건지 한 번 더 확인(체크 해제해도 무방)

Power tweaks

종료 메뉴를 설정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재부팅 메뉴가 나온다.

※ 종료 버튼으로는 안 나오고 뒤로 가기 키에 롱 탭 시 종료 메뉴가 나오도록 설정한 것다.

종료 버튼으로 나오게 하려면 앱(Quick_Reboot)을 설치해야 한다.

power menu

4) 내비게이션 바 높이 변경

a. GravityBox[LP] 실행 후 Navigation bar tweaks로 들어간다.

b. 스크롤을 아래로 내린 후 Dimensions 메뉴에 Navigation bar height를 줄이고, 늘리고 할 수 있다.

(MJJ 75%를 줬다. 본인이 편한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Navigation bar tweaks

Navigation bar height 하단 바 높이 변경

5) 상단 바 변경

시계, 배터리 등을 입맛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그냥 넘어가셔도 된다, GravityBox[LP] 툴에 익숙해지면 나중에 하나씩 바꿔보면서 감을 잡으셔도 된다.)

a. GravityBox[LP] 실행 후 Statusbar tweaks에 들어가면 상당 바를 변경할 수 있다.

b. 글씨 색 변경: Statusbar colors - Enable icon colors 활성 - 원하는 색 결정 후 아래 변경된 색 선택.

Statusbar tweaks 상단 바

c. 시계 설정: Clock settings - Master swich 활성

Clock settings

d. 배터리 설정: Bettery settings - Master switch 활성

Bettery settings

e. 배터리 바 설정: Battery bar - Show battery bar 체크

Battery bar

7. 부분 한글화하기

부분 한글이기 때문에 되는 앱이 있고 안되는 앱이 있다.

제가 해본 것은 노바 런처와, 유튜브, 크롬뿐다. 3개는 한글화가 잘 되네.

App locale 적용 가능 어플

: 트위치, 아프리카, 크롬, 유튜브, iYTBP(변형 유튜브), 카카오톡, Plex, 팀뷰어, DS get

App locale 2 적용 가능 어플

: 노바 런처, MX 플레이어, nPlayer, Solid Explorer, 삼성 인터넷, 구글 킵, 지메일, 에버노트, Pushbullet, V live, DS video, DS file

App locale 필요 없이 어플 자체에서 한글로 변경 가능

: 텔레그램, 인스타그램, ES 파일 탐색기, 카카오 맵, KODI, 디스코드

App locale, App locale 2 모두 오류 나거나 한글화 제대로 안 되는 어플

: 플레이스토어, 라인, 페이스북

1) App Locale 실행 후 좌측 상단에 ①… 누르고 Languages 선택 후 ②한국어를 체크하고 ③ SAVE 한다.

2) ④한글로 바꿀 앱(크롬)을 선택하고 ⑤ko_KR로 바꿔주면 변경된다.

(실행 중인 경우 앱을 재시작하면 적용된다. 적용이 안되는 앱일 경우 앱이 실행 안된다. 다시 Default 값으로 변경해주면 된다.)

3) App Locale 2 도 위와 마찬가지로 한글 적용되는 앱을 바꿔 주면 된다.

App Locale

메뉴 부분이 한글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hrome

8. DPI 변경하기

dpi를 변경하면 해상도 대비 글씨가 커져서 화면읽기가 편해집니다.

윈도우 키 + R 키를 누르고 실행 창에서 cmd를 적고 확인.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변경된다.

adb shell
su
dumpsys display | grep mBaseDisplayInfo
wm density 320 && reboot
3번째 줄은 지금 해상도와 dpi를 보여준다.

4번째 줄은 기본 dpi 240을 dpi 320으로 변경하고 재부팅한다.

기본 해상도는 1200 x 1920 / 기본 DPI는 240다.

dpi

변경하면 글씨가 커져서 가독성이 좋아집니다.

좌 240dpi / 우 320dpi

표준 DPI는 160, 240, 320, 480, 640다.

320 이상은 글씨가 화면에서 벗어나므로 비추천한다.

와이파이 오류는 지역을 일본으로 설정하면 좋아진다고 한다.

Settings - Device Options - Date & Time - Automatic time Zone 해제 - Select Time Zone - Aisa - Japan Standard Time